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공주시 GONGJU CITY

2023.11

이달의 공주 역사인물

이정

  • 11월의 역사인물 이정 선생의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중섭(仲燮), 호는 탄은(灘隱)이며 세종의 넷째 아들 임영대군의 증손입니다. 일찍부터 시·서·화(詩·書·畵)에 재능을 보이며 삼절(三絶)로 명성이 높았으며 그중에서도 묵죽화에 뛰어나 30대 중반에는 이미 경지에 올랐다고 합니다.
  • 조선 중기 임진왜란과 붕당정치로 나라가 혼란스러운 가운데 당시 문인 사대부들은 시·서·화를 통해 심신을 수양했는데, 이정 선생은 특히 지조와 절개를 상징하는 대나무를 즐겨 그리며 삶을 성찰하고 왜세에 대한 저항 의지를 나타내고자 하였습니다.
  • 43세 무렵에는 임진왜란 전투에 참여했다가 왜적의 칼에 오른팔을 크게 다친 후 공주의 만사음(현재 공주시 탄천면)에 월선정(月先亭)을 짓고 숨어 지냈습니다. 월선정은 당대 문인들의 교유장소였으며 선생의 작품세계가 견고하고 풍부해지는 바탕이 되는 곳이었습니다. 선생은 이곳에서 그림에 더욱 몰두하여 중국의 양식에서 벗어나 독자적인 양식을 형성하게 되었습니다.
  • 이러한 결과 이정 선생은 조선 중기 문예의 지향과 역량이 집대성된 삼청첩(三淸帖)을 완성했습니다. 삼청첩은 매화·난초·대나무를 그린 그림에 시를 더해 만든 시화첩으로, 흑색 비단에 금니(金泥)로 그려진 대나무 그림 12폭, 매화 그림 4폭, 난 그림 4폭 총 20폭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선생은 대나무의 강인한 특성을 그림으로 표현함으로써 위기와 혼란의 시대 흐름 속에서 본인의 결연한 의지를 나타냈습니다.
  • 오늘날 우리의 일상에서도 이정 선생의 묵죽화를 만날 수 있습니다. 오만원권 지폐의 뒷면에는 선생의 ‘풍죽도(風竹圖)’가 삽입되어 있습니다. 이는 거친 바위틈에 뿌리를 내리고 거센 바람에 맞서며 휘어질지언정 꺾이지 않는 대나무를 그린 것으로, 선생의 묵죽화 중에서도 절정의 기량과 최상의 품격이 돋보이는 우리나라 최고의 묵죽화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 공주시는 조선 중기 공주에서 사유하고 굳은 지조와 절개를 그림으로 표현했던 탄은 이정 선생의 삶과 업적을 기리고자 2023년 11월의 인물로 선정하였습니다.

카드뉴스

2023 11월 이정1 - 하단에 이미지에 대한 설명이 있습니다. 2023 11월 이정2 - 하단에 이미지에 대한 설명이 있습니다. 2023 11월 이정3 - 하단에 이미지에 대한 설명이 있습니다. 2023 11월 이정4 - 하단에 이미지에 대한 설명이 있습니다. 2023 11월 이정5 - 하단에 이미지에 대한 설명이 있습니다. 2023 11월 이정6 - 하단에 이미지에 대한 설명이 있습니다.
2023 11월 이정1 - 하단에 이미지에 대한 설명이 있습니다. 2023 11월 이정2 - 하단에 이미지에 대한 설명이 있습니다. 2023 11월 이정3 - 하단에 이미지에 대한 설명이 있습니다. 2023 11월 이정4 - 하단에 이미지에 대한 설명이 있습니다. 2023 11월 이정5 - 하단에 이미지에 대한 설명이 있습니다. 2023 11월 이정6 - 하단에 이미지에 대한 설명이 있습니다.

언론보도

2023 10월의 공주 역사인물 포스터 이미지로 자세한 내용은 하단을 참고해주세요
2023 10월의 공주 역사인물 공주시 로고
  • 고려의 개국공신이 되다 10월의 공주 역사인물 이도
  • 이도의 본래 이름은 치로 고려 태조 왕건을 도와준 공으로 도라는 이름을 하사받고 개국공신으로 책봉된 인물이며 전의이씨의 시조이다.
  • 왕건이 후백제를 정벌하러 내려가는 길에 공주 금강에 이르렀는데 홍수로 인해 강물이 넘쳐 더 이상 진군할 수 없었으나 치의 도움으로 강을 건너 후백제로 진격할 수 있었다.
  • 훗날 후삼국을 통일한 왕건은 치에게 도라는 이름을 하사하고, 응양군 대장군 삼한 개국익찬공신 2등에 책훈, 관직을 삼중대광태사, 작호를 전산후에 봉했다.
  • 이도는 선대부터 살아온 공주 금강변을 떠나 봉작지인 전산으로 옮겨 이성에서 살았으며, 본관을 전의로 삼고 후손들이 세거하게 되었다.
  • 공주 신관동 금강변 이산에는 이도의 선대묘소가 자리하고 있으며 세종 전의면 유천리에는 이도의 묘소가 위치하고 있다.